비뇨기과>비뇨기질환

남성불임은 호르몬 문제, 감염, 외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따로 있다. 바로 정자의 활동성을 떨어뜨리고, 정자의 농도를 감소시켜 불임을 유발하는 정계정맥류 때문입니다.
정계정맥류란 음낭의 고환에서 나오는 정맥 혈관이 확장되어 꼬불꼬불 엉키고 부풀어 오르는 남성질환을 말합니다. 부풀어 오른 혈관에 피가 머무르면서 고환주위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정자의 활동의 저하시켜 불임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실제 전체 남성 인구의 약 15%, 남성 난임(불임) 환자의 약 40%에게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국가정보포털 제공>
등 급 | 내 용 |
---|---|
경증 1단계 | 종물이 작고 아랫배에 힘을 주면 만져지는 경우 |
중등도 2단계 | 종물이 중증도 크기이며 아랫배에 힘을 주지 않고도 만져지는 경우 |
중증 3단계 | 종물이 크고, 아랫배에 힘을 주지 않고도 맨눈으로 식별 가능한 경우 |
신체검사
바로 누운 자세와 선 자세 모두에서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복압을 높이는 바살바법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고환크기는 고환측정기(orchidometer)를 이용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해 측정하며 이때 반드시 양쪽 고환의 크기를 비교해야 합니다.
양쪽 고환의 크기 차이가 2cc 이상 혹은 20% 이상이면 수술이 필요합니다. 신체검사에 따른 정계정맥류의 정도는 표 1과 같습니다
색도플러 초음파촬영술
음낭의 색도플러초음파촬영술은 정계정맥류의 진단에 쉽고 안전한 검사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음낭 내 다른 질병의 유무를 알 수 있으며 신체검사에서 만져지지 않는 환자에서 정계정맥류의 진단도 가능합니다.
정계정맥조영술
내정계정맥을 선택적으로 조영하는 정계정맥조영술은 정계정맥류의 진단에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검사 방법이 어려워 일상적으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수술적 치료 후 재발하거나 증상의 호전이 없을 시 정계정맥의 역류 위치를 알아보고 동시에 색전술을 시행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성선자극호르몬(GnRH) 자극검사
성선자극호르몬 (GnRH) 자극에 의한 호르몬의 분비의 변화를 검사하여서 생식 세포의 기능이상과 고환의 세정관의 기능이상을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이는 특히 사춘기 이전의 소아에서 고환기능평가에 유용합니다만 자주 이용되지는 않습니다.

<국가정보포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