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48e8e8c941014a6e77813c040a7176_1750234283_3525.png
0948e8e8c941014a6e77813c040a7176_1750235125_7809.png
0948e8e8c941014a6e77813c040a7176_1750234238_2217.png


강남베드로병원 SNS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관상동맥 질환이란?

우리 몸의 각 장기는 혈관을 통해 충분한 혈액을 공급받아야 제 기능을 할 수 있고, 심장도 마찬가지 입니다.
심장은 관상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는데, 관상동맥 안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좁아지면 심장에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협심증

가슴 정중앙 깊숙이에서 넓은 부위에 걸쳐 묵직한 느낌 또는 조이는 느낌이며, 사람에 따라서 협심증을 다른 부위에서 느끼기도 하는데 배꼽부터 턱 사이 어느 부위에서든 느낄 수 있으며 소화불량이나 치통, 어깨 통증으로 착각하고 지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 혈전 등과 같은 병변으로 인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면 심장 혈액 공급에 문제가 생깁니다. 평상시 안정상태에서는 심장의 기능이 왕성하지 않아 관상동맥이 좁아져 있거나 부분적으로 막혀 있더라도 혈액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어 이때에는 별다 른 증상을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심장이 바쁘게 움직여야 할 상황에서는 평소보다 더 많은 양의 혈액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때 좁아져 있는 관상동맥 으로 필요한 혈액량을 공급할 수 없어 심장근육에 혈류와 산소공급이 부족하게 되고, 그 결과 가슴통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협심증이 발생 하게 됩니다.

이형협심증(연축성협심증)

관상동맥의 경련(연축)으로 혈류가 감소되어 발생합니다.

심근경색

심장혈관이 혈전, 연축 등의 원인에 의해 갑자기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에 또는 일부분에 혈액과 산소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어 심장 근육의 조직이 괴사 하는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고 합니다. 가슴통증, 심장수축기능 저하, 부정맥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며 급사를 일으키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허혈심장병

관상동맥질환은 전부 심장에 피가 부족해서 생긴 것이므로 이들을 통틀어 허혈심장병이라고 합니다.

관상동맥 질환 원인
  • 노화
  •  
  • 고지혈증
  •  
  • 고혈압
  •  
  • 흡연
  • 비만
  •  
  • 가족력
  •  
  • 스트레스
관상동맥 질환 검사

증상을 문진해보고 심장 관련 문제로 판단되면 심전도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가슴 x-ray나 혈액검사, 심장초음파 검사 등을 할 수 있고 관상동맥에 문제가 있거나 정상이어도 정황상 관상동맥 질환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 관상동맥 조영술을 하게 됩니다.

관상동맥 질환 치료
스텐트 삽입

스텐트는 합금으로 된 작은 철망을 혈관 안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동그랗게 만든 장치입니다. 예전에는 관상동맥 안에서 풍선을 부풀려 혈관을 넓혀주는 시술을 주로 했지만 몇 달 뒷면 혈관이 다시 막히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좁아진 관상동맥을 넓힌 후 스텐트를 안에 넣어두면 관상동맥이 넓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협착을 막아주는 약물을 분비하는 스텐트를 사용하므로 시술 후 재협착률이 현저히 줄었습니다. 관상동맥 조영술을 할 때처럼 손목이나 사타구니의 혈관을 따라서 관상동맥까지 관을 넣은 후 스텐트를 설치하므로 관상동맥 촬영술 중 관상동맥이 좁아진 것이 확인되면 스텐트 시술까지 바로 이어서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관상동맥 질환 우회술

협착이 심할 때는 스텐트 삽입 대신 관상동맥 우회술을 하기도 합니다. 말 그대로 관상동맥에 우회로를 만들어주는 수술로, 가슴이나 다리에 있는 여분의 건강한 혈관을 잘라와서 심장에 덧대주는 것입니다. 스텐트 삽입 같은 중재 시술과 달리 전신마취를 하고 시행합니다.

치료 후 주의사항
  • 개인 증상에 따라 치료효과 및 치료기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치료 후 일시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